배성진 증명사진

배성진

타이포그래피와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특화된 그래픽디자이너 배성진은 브랜드·편집·웹 콘텐츠 디자인부터 전시, 프로모션, 인터랙션 프로젝트까지 확장하며 기획·디자인·제작의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합니다. 콘텐츠 기획과 글쓰기 역량을 함께 갖추어 텍스트와 비주얼을 효과적으로 결합합니다.

학력

계원예술대학교, 시각디자인과, 2022~2026년 2월 졸업예정

동의대학교, 산업디자인과(제품디자인), 2017~2022년 2월 중퇴

핵심 보유 역량

작업

전시

경력 사항

티티서울 (윤디자인퍼시픽) / 그래픽디자이너, 사원
2024.07 – 2024.12
→ 공공기관 전시 경험, 매체 운영 이해도, 디자인·콘텐츠 조율 능력 강화
윤디자인그룹 / 그래픽디자이너, 사원
2023.08 – 2024.07
→ 브랜드·웹·전시·콘텐츠 제작 전 과정을 경험, 문제 해결 및 기획 능력 강화

마무리

저의 경력과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디자인 작업으로 기여하겠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기소개서

소개

안녕하세요. 그래픽디자이너 배성진입니다. 저는 대학 시절부터 전시와 출판, 웹 작업을 넘나들며 디자인이 단순한 ‘시각적 장식’이 아니라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언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특히 타이포그래피와 편집 디자인에 깊은 흥미를 가지며, 글과 이미지가 만나 새로운 맥락을 만들어내는 순간에 큰 매력을 느껴왔습니다.

전문성

윤디자인그룹에서 정규직 디자이너로 근무하며 브랜드 서체 프로모션과 전시 그래픽, 온라인 콘텐츠 디자인을 담당했습니다. 예를 들어, 신제품 서체 론칭 프로젝트에서는 서체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콘셉트를 기획하고, 인쇄물부터 SNS용 그래픽까지 제작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서체가 단순히 ‘상품’이 아니라 브랜드와 사용자를 잇는 매개로 인식되도록 기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은 결국 문제 해결의 과정이라는 점을 다시 체감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 조직생활

실무에서 가장 크게 배운 것은 협업의 힘입니다. 편집자, 마케터, 개발자 등 다양한 팀과 함께 일하면서, 각자의 관점과 요구를 이해하고 조율하는 일이 디자인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때로는 제한된 일정 속에서 타협점을 찾아야 했지만, 그 안에서 최적의 결과를 내는 것이 디자이너의 역할임을 느꼈습니다.

장단점

저는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는 성격입니다. 이 장점 덕분에 빠르게 적응하고 새로운 도구와 방식을 실험하는 데 익숙합니다. 반대로, 때로는 완성도를 높이려는 욕심 때문에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정 우선순위를 명확히 세우고, 중간 점검을 통해 속도와 완성도를 함께 관리하는 습관을 만들었습니다.

나는 어떤 작업자인가?

저는 “실험하는 디자이너”라고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것이 생기면 직접 만들어보면서 배우는 성향이 있습니다. 전시 참여 경험에서도, 브이제잉과 인터랙티브 전시, 크리에이티브 코딩의 여러 행사 경험이 있어, 단순히 그래픽을 제작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공간과 관람자의 동선을 고려한 설계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제 작업은 언제나 “무엇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비전

앞으로는 단순히 아름다운 결과물 제작을 넘어, 브랜드와 사용자 사이의 의미 있는 소통을 만들어내는 디자이너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2년차라는 짧은 경력이지만, 꾸준히 배우려는 자세와 다양한 매체를 넘나든 경험을 바탕으로 귀사의 프로젝트에 기여하겠습니다.














브랜드네임

FTTH

• 약어 의미: From Through The Heart • 해석: “마음을 통해(From Through) 전하는 형태(The Heart)” → 디자인 작업을 마음과 애정을 담아 제작한다는 의미 • 언어유희: 일반적인 기술 약어(FTTH: Fiber To The Home)와 겹치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감정과 형태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재해석

FTTH 모토

FTTH, 에프티티에이치는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를 기반으로 사고하며, 실용적이고 실험적인 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생각합니다.